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데잇걸즈
- 커리어브랜딩
- 주간회고
- HTML
- 비즈니스분석가
- 유데미
- 코테
- 코딩테스트
- hackerrank
- 네트워킹모임
- 취준생
- SQLD
- 데잇걸즈6기
- 회고
- 데이터
- 행사후원
- 회고글
- it모임
- 윈도우함수
- 취준
- 생활코딩
- 도서출판길벗
- 해커랭크
- 오라클
- sql
- Oracle
- 데이터엔지니어링
- 테크커리어
- 데이터분석
- airflow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7)
Dream Lovers

데잇걸즈 네트워킹 모임 기획 회고 - 기업 후원부터 인원 모집, 행사 진행까지의 여정벌써 2년 전 여름쯤이었나, 이제는 부트캠프의 존재를 뛰어 넘어 내가 애정하는 커뮤니티가 된 데잇걸즈 네트워밍 모임 기획을 시작했다. 2023년에 일회성으로 끝날 수 있는 모임이었음에도, 2024년 연말에도 다시 한번 데잇걸즈 네트워킹 모임을 진행하게 되었다. 2023년에 비해 2024년 두 번째 행사는 TF팀도 2명에서 4명으로 2배나 늘었고 행사도 더욱 알차게 구성했다. TF팀은 수료생 동기인 6기 단비, 남이, 가현님과 꾸렸다. 인원도 많아진 만큼 행사 준비도 첫 행사보다 많이 달라졌다. 그중에서도 일 년 사이에 가장 큰 변화가 있었다면 단연코 ‘기업 후원’을 받았다는 것이며, 수료생이 연사가 되어 자신의 경험과 배..

데잇걸즈 네트워킹 모임을 기획하면서 '도서출판 길벗'으로부터 책을 후원 받았다. 테크 커리어 - 성공적인 기술 경력 관리법이라는 도서를 선정하여 읽게 되었다. 확실히 나는 내 커리어에 관심이 많고 넥스트 스텝은 무엇이 될지 늘 고민한다. 그러다 보니 '나는 얼마나 커리어 관리를 잘 하고 있을까?', '나는 (아직) 주니어로서 맞는 방향을 찾아 가고 있을까?' 등 여러 질문을 자주하고 있다. 실제로 작년 이맘때에 2024년 만다라트를 세우며 적었던 목표만 보더라도 나는 커리어 개발과 성장에 미쳐있는 사람이었던 거 같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성공적으로 나의 경력을 쌓을 수 있을까? 잘 하고 있다가도 이따금씩 고민이 되어 방향을 재정비하기도 한다. 물론 요즘은 세미나도 많고 링크드인에만 가도 인사이트를 얻..

7~8월은 최근 몇년 사이에 가장 큰 변화가 있었던 시기였다. 타임라인 순서대로 사건에 따라 느끼고 배웠던 점들을 기록해보려고 한다. 1. 행동하고 생각했더니 이뤘던 것이 많았음 보통 '생각하고 행동하라'고 하지 않나 싶을 것이다. 그런데 생각이 많아지면 용기도 사라지고 결국 나의 머릿속에서 시작해서 끝나버리더라. 그래서 행동파인 나는 일단 행동하고 나서 느끼는 것을 토대로 다시 생각했다. 예를 들어 모회사 데이터분석가 면접을 봤던 것이다. 웃기지만 이 회사 면접을 보고 와서 정말 다른 방향으로 내 행동을 설정하기 시작했다. 5월달 회고모임에서 공유했던 내용을 가져왔다. 위에 캡쳐본처럼, 데이터분석가 면접을 보러 다녀와서 IT 세일즈 해야겠다는 결심을 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아무튼 데이터 엔지니어링 ..
* 나는 어떤 일을 하고 있는 사람인가요? - 회사 경영에 관련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경영진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일을 하고 있음 - 우리 회사 주요 KPI: 매출, 비용, 작업 시간 - 나의 메인 업무: 작업 시간 / 매출(사내 센터 매출) / 고객 / BI 대시보드 구상 / 기타 수명 업무 * 내가 그동안 일을 통해 배우고 쌓아온 나의 '일 자산'은 무엇인가요? 내가 지금 좋아하던, 좋아하지 않던 그 동안 일을 하면서 나의 능력치로 쌓아온 경험들을 떠올려보고 소개해봐요 - 데이터에 대한 이해: 노코드 방식(tableau prep builder)로 ETL 작업을 수행하면서 데이터가 조인, 유니온, 피벗 등이 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음. 예를 들어 조인이 잘못되어 행이 늘..

2023년 11월 19일부터 3월 23일까지 약 4개월 동안 참여했던 데이터엔지니어링 스터디를 마무리했다. 이에 회고 글을 작성한다. 스터디 참여 계기 회사에서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및 전처리 파트에 유독 흥미가 더 생기고 관심이 생겼었다. 제대로 된 데이터 전처리가 되지 않으면 분석도 의미가 없어지던 사례도 여럿 있었었고, 단발성 분석이 아니라, 루틴하게 해야 하는 작업에서는 더 깔끔하고 효율적인 파이프라인 구축이 중요했다. 또한 다루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지고 있어 데이터 엔지니어링 지식도 업무에 도움이 많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데이터 엔지니어링 지식을 쌓는다면, 향후 업무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로 판단해 스터디에 참여했다. 스터디는 함께 데잇걸즈 데이터 분석 부트 캠..
**도서 빅데이터를 지탱하는 기술의 내용을 요약, 정리함 분산 시스템에 의한 데이터 처리의 고속화 빅데이터의 등장 2011년~2012년, 많은 기업들이 데이터 처리에 분산시스템을 도입함 빅데이터 처리 기술 : Hadoop & NoSQL 인터넷 ⇒ RDB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 NoSQL / 텍스트 데이터 ⇒ Hadoop Hadoop 다수의 컴퓨터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맵리듀스(MapReduce)를 참고하여 제작했으나, 자바 프로그래밍이 필수 Hive 개발 → 프로그래밍 없이 Hadoop 사용 가능 NoSQL RDB의 제약을 제거하는 것이 목표인 데이터베이스를 총칭함 키밸류스토어, 도큐멘트 스토어, 와이드컬럼스토어 온라인으로 접속 ⇒ NoSQL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하고 Hadoop..

업무 1. 작업 파일과 리소스 문제 다음 분기에 작업할 파일을 미리 손보는 작업을 했다. 목표는 데이터 모델 연결을 최대한 다 끊기였다. 선배님께서 데이터 모델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 피벗을 업데이트하면 이전 데이터가 제대로 안 끊기는 경우가 있다고 이야기하셨다. 또한 검토자 입장에서 작업 파일이 더 보기 편하게 작업해 보라는 피드백을 들었다. 원래는 데이터셋 여러 개를 만들어 두고 key 값 끼리 join하여 사용했다. 피벗에서 필요하다면 새로운 필드를 계산, 추가하여 활용했다. 모델 연결을 끊으면서 대신 사용한 방법은 xlookup으로 로우 데이터에 key 값에 따른 새 컬럼을 꽂아주는 것이었다. 그리고 모델로 연결되지 않은 피벗 하나만 만들고 나머지는 다 수식으로 처리했다. 예를 들어 예전에는 피..

지난주 9월 16일 데잇걸즈 네트워킹 모임을 진행했다. 처음 해보는 모임 기획이었고 그런 만큼 배운 것도, 느낀 것도 많아서 글로 적어두려고 한다. 그러면 내가 왜 데잇걸즈 네트워킹 모임을 만들게 되었을까? 이유는 단순하다. 여러 기수 걸즈님들을 만나고 싶었기 때문이다. 우연한 기회로 다른 기수 데잇걸즈 수료생분이랑 스터디를 하게 되었고, 잠깐 연락을 하게 되었다. 이야기하다 보니까 이제 데잇걸즈도 7년 차를 맞이했는데, 수료생분들은 어떻게 지내고 있을지 궁금해졌다. 기획하는 것에 마음이 맞는 6기 걸즈님 한 분을 찾게 되었고, 둘이 모임을 기획하게 되었다. 참여자 모집 방법 가지고 있는 연락망이라고는 6기 단톡방밖에 없었다. 6기 분들께는 단체 카톡방에서 홍보하는 것으로 해결했다. 다른 기수분들께는 링..